본문 바로가기
프로그래밍 언어/C++

C++ 소수점 출력

by Jo_Wick 2025. 9. 20.
반응형

C++에서 실수를 출력할 때, 소수점 자릿수를 제어하는 방법으로 
`cout.precision()` 과 `fixed`, `setprecision(n)` 가 자주 함께 등장한다.
이 둘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면, 원하는 출력 형식을 쉽게 다룰 수 있다.

 

기본 출력 방식
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
int main() {
    double pi = 3.1415926535;
    cout << pi << endl; // 3.14159
}

 

기본적으로 실수를 출력할때는 소수점 아래 6자리까지 출력을 한다.

 

cout.precision
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
int main() {
    double pi = 3.1415926535;

    cout.precision(4);
    cout << pi << endl; // 3.142 (유효 숫자 4자리)

    cout.precision(10);
    cout << pi << endl; // 3.141592654 (유효 숫자 10자리)
}

 

  • cout.precision(n)을 통해 전체 숫자의 자릿수를 정할 수 있다.


setprecision(n)
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iomanip>  // setprecision
using namespace std;

int main() {
    double pi = 3.1415926535;

    cout << setprecision(4);
    cout << pi << endl; // 3.142 (유효 숫자 4자리)
}
  • setprecision(n)은 "전체 자릿수" 를 지정한다.
  • 따라서 3.1415…를 유효 숫자 4자리로 → 3.142


fixed
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iomanip>
using namespace std;

int main() {
    double pi = 3.1415926535;

    cout << fixed;
    cout.precision(4);
    cout << pi << endl; // 3.1416
}
  • fixed 를 쓰면 precision이 소수점 이하 자리수 의미로 바뀜
  • 따라서 precision(4) → "소수점 아래 4자리까지"

 

반응형

'프로그래밍 언어 > C++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C++ 연산자 우선 순위  (0) 2025.09.21
C++ 특정 문자 사이 값 입력받기  (0) 2025.09.20
C++ 지수 표기법  (0) 2025.09.20
C++ 표준 스트림  (0) 2025.09.19
C++ STL Map 사용법  (0) 2023.04.14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