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- 프로그래밍에서 데이터가 흐르는 통로를 의미한다.
- 즉, 입력(읽기)과 출력(쓰기)을 추상화한 개념이다.
- 파일이든 키보드 입력이든 네트워크든 상관없이, “데이터가 연속적으로 흐른다” 라고 생각하면 된다.
스트림을 쓰는 이유
- 장치 독립성
- 키보드, 파일, 네트워크, 메모리… 어떤 대상이든 같은 방식(<<, >>)으로 다룰 수 있음. (C++ 기준)
- 추상화
- 하드웨어 세부사항을 몰라도, 스트림만 알면 입출력 처리 가능.
- 유연성
- 표준 입출력(cin, cout)뿐 아니라 파일, 문자열까지 같은 인터페이스로 처리 가능. (C++ 기준)
요약
- 스트림(stream) = 데이터가 흐르는 추상적인 통로
- C++에서는 입력(istream), 출력(ostream), 양방향(iostream)으로 나뉨
- cin, cout, cerr, ifstream, ofstream 등이 모두 스트림 객체
반응형
'프로그래밍 언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로케일(Locale)이란? (0) | 2025.10.01 |
|---|---|
| 타입 승격 (Type Promotion) (0) | 2025.09.21 |
| 버퍼링 (Buffering) (0) | 2025.09.19 |
| 강타입 (Strongly Typed) VS 약타입 (Weakly Typed) (0) | 2025.09.18 |
| 정적 타이핑 vs 동적 타이핑 (0) | 2025.09.18 |
댓글